나카무라 마사나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무라 마사나오는 일본의 교육가, 사상가, 번역가이다. 그는 1832년 에도에서 태어나 한학과 란학을 수학했으며, 1866년 영국 유학생 감독으로 영국에 건너가 서구의 학문과 사상을 접했다. 귀국 후 시즈오카 학문소 교수를 거쳐 《자조론》을 번역하여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자유지리》를 번역하여 자유주의 사상을 소개했다. 그는 동인사를 설립하여 영어를 가르치고, 명육사 활동을 통해 계몽 사상 보급에 힘썼으며, 1890년 귀족원 칙선의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다 1891년 사망했다. 그의 사상은 한국의 개화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교수 - 사토 고이치 (건축가)
사토 고이치는 와세다 대학 건축과 교수이자 건축가로서 오쿠마 기념 강당을 설계했으며 기능성, 모더니즘, 지역성이 조화된 건축물로 건축계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교수 - 사사키 히토시
사사키 히토시는 일본 축구 선수이자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고 우쓰노미야 대학과 후쿠시마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체육 교육과 여성 체육 진흥에 기여한 인물이다. - 일본의 계몽사상가 - 가토 히로유키
가토 히로유키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계몽 사상가, 교육자, 정치인으로, 천부인권론을 주창하며 계몽 운동에 앞장섰으나 사회 진화론을 수용하며 국가주의적 성향을 강화했고, 도쿄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며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입헌정우회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펼쳤다. - 일본의 계몽사상가 - 니지마 조
니지마 조는 일본의 교육자로서, 기독교 정신과 서구식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도지샤 영학교를 설립하여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한 도지샤 대학의 설립자이다. - 19세기 학자 - 우쓰노미야 사부로
우쓰노미야 사부로는 에도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활동한 화학자이자 기술자로, '화학' 용어 정착에 기여하고 일본 최초로 포틀랜드 시멘트 생산에 성공하며 일본 근대화에 공헌했다. - 19세기 학자 - 혼다 도시아키
혼다 도시아키는 에도 시대 후기 가가 번의 정치가이자 사상가로, 사회 문제와 북방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급진적인 서구화, 에조치 개발, 해외 영토 획득, 막부 주도 교역, 중상주의적 개혁론을 주장했고, 그의 사상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주의 발흥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나카무라 마사나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본명 | 나카무라 마사나오 (中村 正直) |
다른 이름 | 나카무라 게이우 (中村 敬宇, 아호) 나카무라 게이스케 나카무라 게이타로 |
출생 | 1832년 6월 24일 (음력 1832년 5월 26일) |
출생지 | 무사시국 에도 아자부 단보타니 (현 도쿄도 미나토구) |
사망 | 1891년 6월 7일 |
사망 장소 | 도쿄부 도쿄시 고이시카와 에도가와초 (현 도쿄도 분쿄구) |
묘소 | 야나카 묘원 료칸지 묘지 (도쿄도 다이토구 야나카) |
직업 | 한학자 난학자 교육자 |
학력 | 문학 박사 (일본, 1888년) |
활동 시기 | 에도 시대 말기 ~ 메이지 시대 |
영향 | 존 스튜어트 밀 새뮤얼 스마일스 |
정치 활동 | |
소속 정당 | (없음) |
직책 | 귀족원 의원 (칙선 의원) 원로원 의관 도쿄 시의회 의원 고이시카와 구의회 의원 |
임기 시작 | 1890년 9월 29일 (귀족원 의원) 1886년 2월 26일 (원로원 의관) 1889년 6월 (도쿄 시의회 의원) 1889년 12월 18일 (고이시카와 구의회 의원) |
임기 종료 | 1891년 6월 7일 (귀족원 의원) 1890년 10월 20일 (원로원 의관) 1891년 6월 7일 (도쿄 시의회 의원) 1891년 6월 7일 (고이시카와 구의회 의원) |
선거구 | 고이시카와구 |
저서 | |
주요 작품 | 서국입지편 (1871년) 자유지리 (1872년) |
2. 생애
나카무라 마사나오는 1832년 에도(현재의 도쿄)에서 막부 하급 관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66년 막부에서 파견한 영국 유학생들의 감독으로 영국에 갔으며[21], 메이지 유신 이후 시즈오카 학문소 교수를 지냈다. 이때 선교사 에드워드 워렌 클라크와 평생 친구가 되었다.[22]
1870년 새뮤얼 스마일스의 "Self Help"를 《서국입지편》으로 출간하여 후쿠자와 유키치의 《학문의 숭고》와 함께 메이지 양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서국입지편》 서문에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라는 문장이 나온다.[23]
존 스튜어트 밀의 "On Liberty"를 《자유지리》로 번역,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와 개인의 인격, 존엄성, 자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자유지리》에는 친구 클라크의 서문도 있다.[24]
1872년 일본 대장성 번역국장, 제국학사회원, 도쿄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1873년 동인사라는 사숙을 개설해 게이오기주쿠, 콘도 마코토의 고교쿠샤(攻玉社)와 함께 3대 의숙으로 불렸다.[25]
1873년 명륙사에 참여, 후쿠자와 유키치, 모리 아리노리, 니시 아마네, 가토 히로유키 등과 계몽사상 보급에 힘썼고 명륙잡지를 발간했다.
1874년 요코하마 유니온 처치에서 조지 콕크란의 설교를 듣고 동인사 선생으로 초빙, 이후 캐나다 감리교회 신자가 되었다.[26][27]
1890년 귀족원 칙선의원으로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28][29] 1891년 58세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에도 막부의 하급 관리인 나카무라 부헤이(中村武兵衛)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명은 센타로(釧太郎)였다. 가쓰라우마 모에몬(葛馬茂右衛門)에게서 유학을, 이시카와 고도(石川梧堂)에게서 서예를 배웠다. 1846년 쓰키지 이베 카야마(井部香山)의 사숙에서 한학을 배웠고, 이듬해 가쓰라가와 호슈(桂川甫周)에게서 난학을 배웠다.1848년 쇼헤이자카 학문소의 기숙사에 들어갔다. 사토 이사이에게 유학을, 미나사키 케이고(箕作奎吾)에게 영어를 배웠다. 1855년 교수가 되었고, 1856년 고후 기텐칸(徽典館)의 학두(學頭)가 되었다. 1862년 막부에 고용된 유학자가 되었다.
2. 2. 영국 유학
1866년(경응(慶応) 2년) 카와지 칸도(川路寛堂)와 함께 막부의 영국 유학생 감독으로 소토야마 스테하치(外山捨八)(마사카즈) 등 유학생 12명을 이끌고 영국으로 건너갔다.[21] 1866년 10월 26일 요코하마(横浜)를 출발하여 이듬해 1867년 1월 1일에 런던(London)에 도착했다.[7]런던에서 유학생들을 지도하며 서구의 학문과 사상을 접했다.
1868년(경응(慶応) 4년) 6월 막부 붕괴로 귀국했다.
2. 3. 귀국 후 활동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귀국하여 시즈오카 학문소 교수를 지냈다. 시즈오카 학문소(静岡学問所)에서 함께 교수 생활을 했던 선교사 에드워드 워렌 클라크(Edward Warren Clark)에게 감화되어 평생 친구가 되었다.[9]1870년 새뮤얼 스마일스의 "Self Help"를 《서국입지편(西国立志編)》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하여 100만 부 이상 팔려 후쿠자와 유키치의 《학문의 숭고(学問のすすめ)》와 함께 메이지 양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서국입지편》 서문에 유명한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라는 문장이 나온다.[23]
존 스튜어트 밀의 "On Liberty"를 《자유지리(自由之理)》라는 제목으로 번역했고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 사상과 개인의 인격, 존엄성, 자유 등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자유지리(自由之理)》에는 친구 클라크의 서문도 붙어있다.[24]
1872년 6월 일본 대장성 번역국장을 거쳐 제국학사회원, 도쿄 대학 교수가 되었다. 1873년 3월 대장성 관료 퇴임 후 사저에 동인사(同人社)라는 사숙을 개설해 영어학, 영국학을 가르쳤다. 게이오기주쿠(慶應義塾)나 콘도 마코토(近藤真琴)의 고교쿠샤(攻玉社) 등과 함께 3대 의숙이라는 평을 받았다.[25]
1873년 학회의 효시라 할 수 있는 명륙사(明六社)에 참여하여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모리 아리토모(森有禮), 니시 슈(西周),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 등과 함께 계몽 사상의 보급에 노력했고 명륙잡지(明六雑誌)를 발간했다.
1874년 요코하마 유니온 처치(横浜ユニオン・チャーチ)에서 선교사인 조지 콕크란(George Cochran)의 설교를 듣고 그를 동인사(同人社)의 선생으로 초빙했다.[26] 이후 콕크란에게 세례를 받은 뒤 캐나다 메소디스트 교회(カナダ・メソジスト教会) 신자가 되었다.[27]
1890년 귀족원 칙선의원에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28][29] 1891년 58세로 사망했다.
3. 사상과 영향
나카무라 마사나오는 에도 막부 하급관리의 아들로 태어나 유학을 공부한 학자였다. 1866년 막부 유학생 감독으로 영국에 건너갔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귀국했다.[21] 그는 새뮤얼 스마일스의 "Self Help"를 서국입지편이라는 이름으로 번역하여 출간했는데, 이 책은 100만 부 이상 팔리며 후쿠자와 유키치의 학문을 권함과 함께 메이지 시대 양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23]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유명한 격언은 이 책의 서문에 등장한다.[23]
나카무라 마사나오는 존 스튜어트 밀의 "On Liberty"를 자유지리로 번역하여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 사상과 개인의 인격, 존엄성, 자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4] 그는 기독교를 서구 열강의 힘의 원천으로 보고, 일본의 근대화를 위해 기독교를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73년에는 메이로쿠샤에 참여하여 후쿠자와 유키치, 모리 아리노리 등과 함께 계몽사상 보급에 힘썼다.[11] 1874년에는 조지 코크란에게 세례를 받고 캐나다 감리교회 신자가 되었다.[27]
그는 여성 교육과 시각장애인 교육에도 힘썼다. 1873년 사숙 동인사를 설립하여 여학생들을 가르쳤고,[25] 시각장애 아동 교육을 위한 자선 단체인 락젠카이(楽善会)를 설립했다.[2]
나카무라 마사나오의 사상은 한국의 초기 개화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유길준은 그의 저서를 통해 서구 사상을 접하고, 자신의 저서 서유견문에서 나카무라 마사나오의 영향을 받은 내용을 언급했다.
4. 저서 및 역서
나카무라 마사나오는 《서패잡찬》, 《애경여창》, 《자서천자문》 등을 저술했고, 새뮤얼 스마일스의 《자조론》을 번역한 《서국입지편》,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번역한 《자유지리》 등 다양한 서적을 번역했다.[1] 그 외에도 랜섬 길레의 《The Federal Government》를 번역한 《공화정치》, 존 C. 드베로의 《Cabinet Lawyer》를 번역한 《영국율법요결》, 새뮤얼 스마일스의 《Character》를 번역한 《서양품행론》, 랠프 월도 에머슨의 《Compensastion》을 번역한 《보상론》 등이 있다.
4. 1. 저서
- 1874년 3월: 《서패잡찬(西稗雑纂)》 (동인사) (제2집은 1876년 3월)
- 1876년 4월: 《애경여창(愛敬余唱)》 (오오츠키 아이코 편집, 산호각)
- 1887년 3월: 《자서천자문(自叙千字文)》
4. 2. 역서
연도 | 저서 | 원서 | 비고 |
---|---|---|---|
1871년 | 서국입지편 | 새뮤얼 스마일스, 《자조론》 | [1] |
1872년 | 자유지리 |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 [1] |
1873년 | 공화정치 | 랜섬 길레(Ransom Gillet), 《The Federal Government》 | |
1874년 | 영국율법요결 | 존 C. 드베로(John C. Devereux), 《Cabinet Lawyer》 | |
1878년 | 서양품행론 | 새뮤얼 스마일스, 《Character》 | |
1886년 | 서양절용론 | 새뮤얼 스마일스, 《Thrift》 | |
1888년 | 보상론 | 랠프 월도 에머슨, 《Compensastion》 |
5. 기념물
나카무라 마사나오의 아버지 나카무라 무베에는 시즈오카현 이토시 우사미의 농가 출신으로, 마사나오는 아버지의 고향인 우사미를 자주 방문했다. 이러한 인연으로 우사미에는 나카무라 케이우 현창비가 세워져 있다. 마사나오가 시즈오카에 거주할 당시 살았던 곳은 현재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오이와모토초 후슈인 뒤편이다. 후슈인 정문 앞에는 그를 기념하는 '「상지(尚志)」의 비'가 세워져 있으며,[15] 그의 집 '무소소우사이(無所争斎)'가 있던 곳에는 '나카무라 케이우 선생 구택지' 비석이 있다.[15]
5. 1. 시즈오카 현창비
아버지 무베에(武兵衛)는 시즈오카현 이토시 우사미의 농가인 쓰쿠다(佃)가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나, 후에 나카무라(中村)가의 양자가 되었다. 나카무라 마사나오는 아버지의 고향인 우사미를 사랑하여 자주 방문했다. 그러한 인연으로 우사미에는 '''나카무라 케이우(中村敬宇) 현창비(顕彰碑)'''라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15]5. 2. '상지(尚志)'의 비
나카무라 마사나오가 시즈오카에 거주할 당시 살았던 곳은 현재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오이와모토초 후슈인(富春院) 뒤편이다. 후슈인 정문 앞에는 그를 기념하는 비석인 '「상지(尚志)」의 비'가 세워져 있다.[15] 또한, 실제 그의 집 「무소소우사이(無所争斎)」가 있었던 곳에는 '''나카무라 케이우(中村敬宇) 선생 구택지(先生旧宅跡)'''라는 비석도 있다.[15]5. 3. 나카무라 케이우 선생 구택지
나카무라 마사나오의 집 '무소소우사이(無所争斎)'가 있던 자리에는 '나카무라 케이우(中村敬宇) 선생 구택지(先生旧宅跡)' 비석이 세워져 있다.[15]참조
[1]
서적
Britain and Japan: Biographical Portraits, Vol. 4
Japan Society Publications
2002
[2]
서적
Britain and Japan: Biographical Portraits, Vol. 4
Japan Society Publications
2002
[3]
웹사이트
寺院のご案内 | お寺・お墓のアイエム
https://www.aiemu.co[...]
[4]
서적
東京市会史 第一巻
東京市会事務局
1932-08
[5]
서적
小石川区会史 上巻
小石川区役所
1938-03
[6]
서적
鳥居坂教会百年をむかえて
鳥居坂教会
1983-11-20
[7]
서적
『静岡県英学史』
講談社
1967
[8]
서적
『静岡県英学史』
講談社
1967
[9]
서적
『静岡英和女学院百年史』
静岡英和女学院
1990
[10]
서적
『静岡県英学史』
講談社
1967
[11]
서적
中村敬宇
吉川弘文館
1966
[12]
서적
『平岩愃保伝』
大空社
1992
[13]
간행물
官報
1890-10-06
[14]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
衆議院・参議院
1990-11
[15]
웹사이트
10 「尚志」の碑(富春院)~明治期の啓蒙思想家中村正直と静岡~
http://www.tosyokan.[...]
静岡県立中央図書館
2018-09-25
[16]
간행물
官報
1884-10-01
[17]
간행물
官報
1886-11-01
[18]
간행물
官報
1891-06-08
[19]
간행물
官報
1889-12-02
[20]
간행물
官報
1891-06-09
[21]
서적
『静岡県英学史』
講談社
1967
[22]
서적
『静岡英和女学院百年史』
静岡英和女学院
1990
[23]
서적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2018
[24]
서적
『静岡県英学史』
講談社
1967
[25]
서적
中村敬宇
吉川弘文館
1966
[26]
서적
『平岩愃保伝』
大空社
1992
[27]
서적
『平岩愃保伝』
大空社
1992
[28]
간행물
官報
1890-10-06
[29]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
衆議院・参議院
199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